원본 이미지에 색상을 추가하면 원본의 색상과 추가된 색상이 혼합되어 나타나게 됩니다.
그러나 RGB의 개념이 불분명하면, 원하는 색상을 얻기가 무척 까다롭기도 합니다.

① Color Levels : 슬라이더의 조절바에서 입력된 값이 수치로 표시됩니다.
② Color 슬라이더 : 슬라이더를 조절하여 이미지에 원하는 색상을 추가합니다.(숫자를 넣는 것과 같은 값)
③ Tone Balance : 작업할 톤을 선택하여 원하는 톤에만 색상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④ Preserve Luminosity : 명도값을 바꾸지 않고 작업이미지에 색상을 추가합니다.
자신의 원하는 값을 쉽게 넣기 위해서는 조금의 이해가 필요합니다.
아래 설명을 잘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color Balance 슬라이더에 좌측에는 C,M,Y, 우측에는 R,G,B가 있습니다.
흰색의 값은 R:255, G:255, B:255 입니다. 반대로 검정색은 R:0, G:0, B:0 입니다.
때문에 R:0, G:255, B:255는 Cyan이 되고, R:255, G:0, B:255는 Magenta, R:255, G:255, B:0은 Yellow가 됩니다.
다시말해, Red를 Cyan방향으로 이동시킨다고 무조건 빨간색이 제거되는 것이 아니라, Green Blue 값을 올려주는 것이 Cyan 색생값이 증가하여 Red 수치가 감소하는 것입니다.
또 Shadow, Midtones, HIghlights 부분을 각각 조정하여 색생값을 찾아야 합니다.
보정순서는 Midtones, Shadows, HIghlights 순서로 하돼, Midtones를 중심으로 보정을 하고 나머지 값은 조금만 보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래 사진은 붉은 톤을 조금 낮춘 사진 보정의 예입니다.
![]() | ![]() |
trackback from: Model
답글삭제